본문 바로가기
경제

브라질 경제에 대한 단상, 2021.11

by Ju.D 2021. 11. 5.
반응형

브라질 장단기 스프레드는 0.08bp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는 경제 전망이 밝지 않다거나 브라질 경제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다.

 

기준금리 7.75%


이유는 무엇일까? 구글에 검색해본 결과 브라질 인플레이션이 미친 수준이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장단기 스프레드가 줄어든 것이다.

 

지난 3월에 2.00%에서 2.75%로 올린 데 이어 여섯 차례 연속 인상이다.
기준금리 7.75%는 2017년 10월 8.2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028027900094

올해 3월 2%에서 현재 7.75%이다. 8개월 동안 3배 넘게 오른 것.

은행 대출 금리, TRADING ECONOMICS

은행 대출 금리는 40%... 말도 안되는 금리긴 하다. 근데 2016년도 70%는 무엇...ㄷㄷ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 TRADING ECONOMICS

 

그렇다면 브라질의 GDP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어떨까? GDP대비 36%로 역대 최고치이다.

 

18년도부터 서서히 금리를 낮추니 부채도 늘어났구나. 어쨌든 지금은 사람들 대출 갚기가 힘들어지는 시기라고 판단된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04249

 

쓰레기 트럭 뒤져 끼니 해결, 빈민가는 두배로…브라질 경제 위기

■ 쓰레기 트럭 뒤져 먹을 것 찾는 SNS 영상 '충격'…"어린아이들도 쓰레기 더미서 먹을 것 뒤져" 브라질 ...

news.kbs.co.kr

사람들이 높은 물가 때문에 쓰레기차에서 먹거리를 찾는다는 기사다. 매우 충격적이다.

 

증시


인플레이션이 오면 원자재로 먹고사는 브라질 증시에 호재라고 판단했을 것. 하지만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율에 보베스파지수는 하락하고 브라질 펀드의 실적도 좋지 않다고 한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TUJUTJAI

 

그 이유는 정치적 이유와 인플레이션이 있다. 브라질은 내년 선거이다. 현재 대통령인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재난지원금을 마구 뿌리는 바람에 재정건정성 의혹과 투자심리 위축의 이슈가 있다.

 

그리고 미연준의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 시 GDP대비 부채가 높아 경제적 타격 위험이 존재한다.

 

환율


xe.com

 

헤알화도 절상됐다.

 

수출이 잘되는것도 아니고, 수입 물가만 오르는 상황. 참 안타까운 상황이다.

 

요새 원자재 가격도 빠지던데...

 

미래는?


 

더더욱 악화될 것 같다. 그 이유는 미연준 금리 인상, 당분간 지속될 공급망 문제로 인한 인플레이션, 원자재 가격의 하락으로 재정수지 악화.

 

지속적으로 트래킹 해야할 국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