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겨냥한 고율 관세 부과를 발표하며 본격적인 무역 전쟁을 예고했다.
📌 관세 부과 내용:
- 멕시코·캐나다산 수입품: 25%
- 캐나다 에너지 제품: 10%
- 중국산 제품: 10%
트럼프는 이번 조치가 미국으로 유입되는 이민자 및 마약에 대한 보복 조치라고 주장했다. 또한, Truth Social(트럼프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미국인들에게 어느 정도 고통을 줄 수도 있지만, 캐나다가 미국의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51번째 주가 되도록 압박하는 데 필요하다”는 논란성 발언을 남겼다.
📌 글로벌 경제에 미칠 심각한 파장
경제학자들은 이번 관세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을 교란하고, 미국 내 소비자 및 기업의 비용을 급격히 증가시킬 것이라고 경고한다.
💰 비교: 1기 vs 2기 무역전쟁
- 트럼프 첫 임기(2017~2021년): 3,800억 달러 규모의 제품에 관세 부과 → 주로 중국 타깃
- 이번 무역 전쟁(2024년~): 1조 4천억 달러 규모의 제품에 관세 부과 → 미국 동맹국(캐나다·멕시코)까지 포함
이는 단순한 무역 분쟁이 아니라, 미국의 핵심 경제 파트너들과의 정면충돌을 의미한다.
📌 자동차·식품·주택 가격 급등 불가피
미국과 캐나다·멕시코는 수십 년 동안 자유무역 협정을 통해 긴밀한 공급망을 구축해 왔다. 그러나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 내 주요 소비재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 자동차 가격 상승
-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은 평균 8번씩 미·캐나다 국경을 넘음
- 25% 관세 부과 시, 차량 1대당 평균 3,000달러 가격 인상 가능 (출처: Wolfe Research)
🥑 식품 가격 상승
- 미국 내 아보카도의 80%가 멕시코산 → 과카몰리 가격 급등 가능성
- 캐나다·멕시코산 과일, 채소, 육류 가격 전반적 상승 전망
🏠 주택 비용 증가
- 미국 건설업체들이 사용하는 건축 자재의 25%가 캐나다·멕시코산
- 자재 비용 증가 → 주택 가격 상승 압박
결국 소비자들이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분야는 자동차·식품·주택이 될 가능성이 크다.
📌 캐나다의 즉각적인 보복 조치… 트뤼도 "우리는 이걸 원한 적이 없다"
캐나다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조치에 대해 강한 분노와 반발이 나타났다.
📢 캐나다의 보복 조치:
- 온타리오 주정부: 미국산 주류(예: Tito’s Handmade Vodka) 매장에서 퇴출
- 캐나다 정부: 1,07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 보복 관세 부과 (맥주, 의류, 가전제품 등 포함)
- 캐나다 국민 반응: 오타와 세너터스 아이스하키 경기에서 미국 국가 연주 중 야유 발생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는 제2차 세계대전과 9·11 테러 당시 미국과 함께했다"며, 트럼프의 이번 조치를 "동맹국에 대한 배신"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 미국 기업들 "이건 최악의 무역 전쟁"
미국 내에서도 트럼프의 결정에 대해 기업과 경제계의 반발이 거세다.
💬 기업·언론 반응:
- 미국 상공회의소(US Chamber of Commerce): "관세는 해결책이 아니다"
-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 전쟁"
- JP모건 CEO 제이미 다이먼: 한 달 전 "관세 걱정하는 사람들은 그냥 극복하라(get over it)"고 했으나, 이번 사태 이후 입장 변화 주목
이번 조치가 강행될 경우, 미국 내 기업들이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출처 : "Trump stars a trade war against America’s allies", Morning Brew
미국,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개시… 무역 전쟁 본격화
미국,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개시… 무역 전쟁 본격화
미국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오늘부터 시행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무역 정책에 따라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는 25%, 중국산 제품에는 10%
abk99.tistory.com
오픈 AI vs 딥시크: AI 기술 도용 논란과 지식재산권 공방
오픈 AI vs 딥시크: AI 기술 도용 논란과 지식재산권 공방
최근 AI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기술 도용 논란이다. 오픈 AI와 그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는 딥시크가 오픈 AI의 기술을 무단으로 활용해
abk99.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중 무역 전쟁 격화: 중국, 보복 관세 발표하지만 미국보다 약한 대응 (0) | 2025.02.07 |
---|---|
뱅가드, 대규모 수수료 인하 발표… 투자자 연간 5,075억 원 절감 예상 (0) | 2025.02.06 |
FDA, 20년 만에 새로운 버텍스의 저너백스 진통제 승인… 오피오이드 대안 될까? (0) | 2025.02.04 |
미국,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개시… 무역 전쟁 본격화 (1) | 2025.02.03 |
오픈 AI vs 딥시크: AI 기술 도용 논란과 지식재산권 공방 (0) | 2025.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