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한 짧은 경제 지식을 공유합니다.
녹색채권이란?
- 친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채권(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정의는 위와 같지만 녹색채권이 탄생하게 된 계기는 따로 있다고 합니다.
기업은 생산 활동을 할 때 발생시킬 수 있는 탄소량이 제한돼있습니다(왜냐하면 파리기후변화협약 때문이죠).
따라서 생산량 증가를 위해서는 추가로 탄소배출권을 구입해야 하는데, 탄소배출권의 수요가 증가하고 수요-공급 법칙에 따라 가격 상승이 이뤄지면서 기업들은 높은 거래 가격에 부담감을 느끼게 됐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대신, 발생시키는 탄소량만큼 친환경 활동을 통해 탄소를 줄이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1,000t의 탄소를 배출시켜야 한다면, 몽골의 고비사막에 나무 2,000그루를 심어서 탄소량을 상쇄한다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기업이 직접 활동하는 대신 친환경적인 프로젝트나 활동을 하는 친환경 기업에게 채권의 형태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채권을 발행하고, 이것이 바로 녹색채권이 탄생하게 된 계기라고 합니다.
참고로 녹색채권에 투자하려면 ESG 상품을 이용하면 됩니다(ESG란 환경 Environment, 사회 Social, 지배 구조 Governance의 약자입니다).
ESG 상품은 녹색채권, 사회적 채권, 지속 가능 채권으로 나눠진다고 합니다.
녹색채권 규모는?
2017년까지 10년 동안 1,555억 달러가 발행됐으며 200% 증가한 규모라고 합니다.
또한 현재까지 녹색채권은 비교적 낮은 변동성으로 적절한 수익을 얻었다고 합니다.
ESG 투자는 코로나19에도 나름 선방했다고 합니다.
국내 ESG 펀드(ETF 포함)의 최근 3개월 수익률은 -9.41%로,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12.94% 하락했다고 합니다(2020.05.18 기준)
녹색채권 투자는 어떻게?
개인은 녹색채권에 단독 투자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하지만 ESG 펀드나 ETF 상품을 이용해 녹색채권에 투자할 수 있다고 합니다.
네이버 금융에 ESG라고 검색하면 KODEX 200ESG, TIGER MSCI KOREA ESG유니버설, ARIRANG ESG우수기업 등 7개의 ETF 상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펀드는 총 15개가 있습니다. KB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굵직한 자산운용사에서 제공하는 펀드가 있으니 비교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녹색채권의 탄생 계기와 규모, 투자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하게, 논리적 근거를 가지고 해야 합니다.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문의사항은 덧글로 남겨주시면 빠른 시간 안에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광고가 아니며 투자를 요구하는 의도가 전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참고자료와 함께 보면 좋은 자료>
The rise of green bonds
There are different shades of green. Find out more about the green bond market and why we think investors need to sit up and take notice of this growing market.
www.eastspringinvestments.co.kr
포스코건설, 국내 건설사 최초 ESG 채권 발행…1200억원 규모
포스코건설이 국내 건설사 중 처음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을 발행합니다.포스코건설은 오늘(12일) 지난 10일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했다고 밝혔습니다.지속가능채권은 사회적 책임투
biz.sbs.co.kr
코로나 돈맥경화…유동성 확보 ‘Key’로 ‘ESG’ 펀드가 뜬다
[데일리한국 견다희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기악화로 유동성 확보에 직면한 기업들에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펀드가 숨통을 트여줄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m.hankooki.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꾸준하게 경제 성장 중인 나라, 캄보디아 / 투자 국가 분석기 2 (0) | 2021.05.12 |
---|---|
북적북적 사람 많은 나라, 방글라데시 / 투자 국가 분석기 1 (0) | 2021.05.10 |
친환경 경제에 대해 알아보자 :: 탄소배출권과 탄소시장 개요 (0) | 2021.04.01 |
일본은 왜 디플레이션에 빠졌고, 미국은 일본의 길을 갈까?(김단테 영상 정리본) (1) | 2021.03.26 |
[2021년 3월 17일] 뉴스 3 :: 스마트 물류전쟁, 페북 뉴스사용료, 현대차 완전자율주행 (0) | 2021.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