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RPAR ETF 요약 (a.k.a. 올웨더 ETF)

by Ju.D 2022. 3. 17.
반응형

 

▶ 리스크 패리티 (Risk parity) 전략은 자산의 수익률이 예측하기 어려운 경제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에 기초를 둔다.

▶ 투자자는 리스크 관리를 위해 다양한 자산군을 선택해야 한다.

▶ 각각의 자산군은 리턴과 리스크를 참고하여 구성된다.

 

Two Key Steps

1) 어느 자산군을 선택할 것인가

4개의 자산군은 서로 다른 경제 환경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강한 경제 약한 경제
강한 인플레이션 원자재 - 원자재 생산 업체 원자재 - 실물 금,
인플레이션 방어용 채권 (TIPS)
약한 인플레이션 전세계 주식 채권

 

2)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원자재 : 원자재 생산 업체는 수익을 극대화하는데 도움이 되며, 실물 금은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TIPS : 듀레이션이 긴 채권을 이용해 더 높은 금리를 얻고, 수익률 곡선의 "롤 다운"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채권 : 긴 듀레이션의 채권 선물을 통해 저렴하게 자금 조달을 하고, 낮은 금리에서 오는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한다.

 

▶ RPAR은 채권 선물을 통해 20%의 레버리지를 추가했다.

▶ 분기별(2월, 5월, 8월, 11월)로 자동적으로 리밸런싱을 한다.

▶ 0.54%의 낮은 보수 비용을 갖고 있다.

▶ 세금 이연에 효과적인 ETF 구조를 통해 배당이나 자본 수익을 최소화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 RPAR ETF의 중심 목표는 경제 대폭락에 투자자를 보호하고 지속해서 시장에 참여하도록 돕는 것이다. 2020년은 RPAR의 효과를 검증하기에 적합한 년도였다.

 

 

질문들

질문 1) 금리가 오늘 때 리스크 패리티 전략의 성과는 어떤가요?

▶ 미국 금리는 1970년대에 의미있게 올랐다. 1970년 6%에서 1980년 13%로 평균 7%의 금리 수준이었다.

▶ 주식과 채권은 수십년간 현금보다 좋은 성과를 내지 못했다.

▶ 원자재와 금은 상당히 아웃퍼폼했다.

▶ RPAR의 자산 배분은 절반이 인플레이션을 방어할 수 있는 자산군(원자재 생산 업체 주식, 금, TIPS) 으로 구성되어있다.

▶ 포트폴리오의 목표는 금리가 오르든 떨어지는 수익이 날 수 있도록 균형잡힌 자산 배분을 하는 것이다.

 

질문 2) 자산 배분 때문에 수익률이 상쇄되어 수익률이 0이 되지 않나요?

▶ 아웃퍼폼을 하던, 언더퍼폼을 하던 장기적인 기간으로 봤을 때 모두 수익률이 0보다 높았다.

▶ RPAR 전략이 장기적으로 기대하는 것은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함으로서 어느 자산군들보다 낮은 변동성을 가지고 포트폴리오 각각의 자산군의 평균 수익률을 얻는 것이다.

 

질문 3) 리스크 패러티 전략이 지금도 유용한가요?

▶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는 균형잡힌 포트폴리오가 지금과 같은 독특한 경제 환경에 필요하다.

▶ 게다가, 리스크가 관리되고, 보수 비용 세금이 낮으면서 유의미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유동성이 풍부한 이 전략이 앞으로 분명 가치가 있다.

 

질문 4) 세금을 아낄 수 있나요?

▶ 세금을 내야하는 분배금에 대해선 2021년에는 2%, 2020년에는 1% 정도였다.

▶ 2021년도와 2020년도에 RPAR 투자자들은 많은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투자를 했다.

 

질문 5) 경제 위기에 상관 관계가 한 방향으로 향하지 않는가?

▶ 경제 대폭락 시기에 장기 국채와 금은 역사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

▶ 지난 20년간, 연간 수익률은 금 (8.8%), 장기 국채 (7.2%)가 주식 (5.7%), 하이일드 채권(6.9%), 헤지 펀드 (5.7%)보다 수익률이 높았다.

 

질문 6) 금리가 낮을 때 채권과 TIPS에 투자해도 되나요?

금리가 떨어지는 것에 대한 걱정

▶ 금리가 낮을 때 대부분의 자산의 기대 수익률은 낮았다. (주식은 현금보다 4-5%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장기 채권과 TIPS는 금리가 떨어져도 잠재적으로 현금보다 더 많은 수익률을 줄 것이다.

금리가 오르는 것에 대한 걱정

▶ 금리가 오르는 것은 모든 자산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 RPAR은 채권과 TIPS의 성과가 좋지 않은 경제 환경에서 아웃퍼폼할 수 있는 자산군에 투자하고 있다.

 

리스크 패리티 전략이 좋지 않은 환경

▶ RPAR은 현금보다 아웃퍼폼 할 수 있는 자산군에 균형잡힌 투자를 하고 있다.

▶ 따라서 현금이 각광받는 경제 환경은 RPAR 전략에 좋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 짧은 기간이다. (1994, 2018, 2008년 9월, 10월, 2020년 3월의 경우가 그렇다)

▶ 장기적으로 리스크가 있는 자산군은 현금보다 아웃퍼폼 하므로, 분산된 포트폴리오에 투자함으로서 투자자들은 낮은 변동성을 가지고 꾸준한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