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핫한 키워드인 청년도약계좌를 아시나요?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위한 금융 상품입니다. 정부가 기여금을 제공하고 비과세 혜택을 주는데요. 5년에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도록 돕는 적금입니다.
비과세가 뭐였죠?
여기서 잠깐. 비과세가 무엇인지 알고 계시나요? 비과세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조세정책상 과세권을 포기하는 것을 말합니다. 너무 어렵죠? 쉽게 말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것입니다.
은행 이자나 배당과 같은 금융 소득은 과세 적용 대상입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15.4% 세금을 떼어가죠. 예를 들어 은행 이자로 100만 원을 받았더라도 정부가 가져간 15만 4천 원을 제외한 84만 6천 원만 통장에 들어오게 됩니다.
그래서 다들 '절세 절세'하는데요. 그래서 청년도약계좌가 좋다고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15.4%를 안 떼가기 때문이죠.
그런데 최근 이 청년도약계좌가 청년들에게 절세할 수 있는 유리한 방향으로 개선되었다는 점을 아시나요? 이제부터 새롭게 바뀐 청년도약계좌를 알아보고 이전과 다른 점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빠르게 알고 가기
- 18 ~ 34세 청년 대상
- 월 70만 원 내에서 자유납입
- 정부 최대 24,000원 기여금 제공
- 5년간 월 70만 원 납입 시 원금 4200만 원 + 정부 지원금 + 이자(+ 비과세) = 총 5,000만 원
가입할 수 있는 사람이 늘었어요
기존 청년도약계좌는 18~34세 청년 중 개인 소득이 연 7,500만 원 이하이고 가구 소득이 중위 180% 이하인 사람만 가입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가구 소득이 골칫거리라고 했습니다. 1인 가구 청년 중 연 소득이 4,200만 원 이하여야 했기 때문이죠. 가입 조건이 높아 혜택을 못 받는 청년이 많다는 불만이 많았습니다. 또한 2인 가구의 청년들도 다른 가구원의 소득 때문에 가입조차 불가능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4월 안으로 가구 소득 기준을 180%에서 250%로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 결과 소득 범위가 확대되어 가입 조건이 완화되었습니다. (1인 가구 소득이 약 5,834만 원, 4인 가구 소득 약 1억 5,3630만 원)
중도 해지해도 괜찮아요
또한 가입 기간이 5년이었던 점도 청년들의 불만사항이었습니다. 가입 기간도 길고, 중간에 일이 생겼을 때 중도 해지를 하게 되면 그동안 받은 혜택을 다 돌려내야 했기 때문이죠. 그래서 정부는 새로운 개정안을 만들었습니다. 바로 가입 기간이 3년을 넘어 중도 해지를 하더라도 정부 기여금 일부와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죠.
한눈에 정리하기
개정 전 | 개정 후 | |
가입 나이 | 만 18 ~ 34세 대한민국 청년 | 만 18 ~ 34세 대한민국 청년 |
개인 소득 | 1인 가구 청년, 연 소득 약 4,200만 원 ↓ (4인 가구, 약 1억 1,600만 원 ↓) |
1인 가구 청년, 연 소득 약 5,834만 원 ↓ (4인 가구, 약 1억 5,3630만 원 ↓) |
납입 금액 | 천 원 ~ 70 만원 (자유납입, 연 840만 원 ↓) |
천 원 ~ 70 만원 (자유납입, 연 840만 원 ↓) |
가입 기간 | 5년 | 5년 |
중도 해지 시 | 15.4% 과세, 정부 기여금 없음 | 가입 3년 전 해지: 15.4% 과세, 정부 기여금 없음 가입 3년 후 해지: 비과세, 정부 기여금 약 60% 지급) |
핵심 부분을 표로 요약했고, 주목할 부분을 형광펜으로 칠했는데요. 개인적으로 청년이라면 하지 않을 이유가 없을 것 같습니다. 천 원부터 가능하고, 3년만 가입해도 충분한 혜택(비과세 + 정부기여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죠.
본인의 상황과 미래 지출 계획에 맞춰 사용한다면 꽤 괜찮은 상품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비교 ft. 금리 가장 높은 은행은?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비교 ft. 금리 가장 높은 은행은?
요즘 2030세대에게 가장 핫한 키워드가 뭐냐고 물어보면 하이리다오 춤 다음으로 나오는 단어가 청년도약계좌이다.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이하의 청년이 5년간 적금 형식으로 계좌에 납입
abk99.tistory.com
증권사별 해외 주식 수수료 비교 및 이벤트 정리 : 삼성증권 vs KB증권 vs 키움증권
증권사별 해외 주식 수수료 비교 및 이벤트 정리 : 삼성증권 vs KB증권 vs 키움증권
해외 주식 투자를 준비하시나요? 어떤 증권사가 좋을까요? 증권사를 선택할 때 여러 기준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점은 해외 거래 수수료가 얼마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증권사별로
abk99.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투자자에게 ETF 투자가 유리한 이유 2가지 ft. 중급자용 (0) | 2024.04.24 |
---|---|
한국 뷰티 및 화장품 ETF 비교 및 장단점 정리 :: HANARO K 뷰티 vs TIGER 화장품 (0) | 2024.04.22 |
증권사별 해외 주식 수수료 비교 및 이벤트 정리 : 삼성증권 vs KB증권 vs 키움증권 (0) | 2024.03.06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비교 ft. 금리 가장 높은 은행은? (0) | 2024.02.06 |
ETF와 펀드,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7가지 (0) | 2023.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