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2년 4월 19일에 신규 상장된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 레버리지(합성)을 소개해 드립니다.
이 상품은 미국 반도체 시장을 대표하는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PHLX Semiconductor Sector Index)를 2X 레버리지 전략으로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신규상장 종목 개요>
상품명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 레버리지(합성)
|
자산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
기초지수
|
PHLX Semiconductor Sector Index
|
지수산출기관
|
나스닥
|
시가총액
(22.04.29)
|
1,226억
|
1좌당 가격
(22.04.29)
|
10,410원
|
총보수·비용(%)
(운용보수, %)
|
0.58
(0.53)
|
최근 배당 이력
|
x
|
연금
|
개인연금, 퇴직연금
|
<ETF 특징>
▷ 합성 상품으로 환율에 의한 노출이 비교적 적습니다.
▷ 미국 주식시장(NASDAQ, NYSE, NYSE American, CBOE)에 상장된 종목 중 반도체 섹터 시가총액 상위 30개 종목으로 구성됐습니다.
▷ 상장 이후 수익률(22.04.29): -3.47%
▷ 지난 1주 수익률(22.04.29): -10.74%
<자세히 알아보기>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ETF 소개 콘텐츠로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 레버리지(합성) 상품은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일별 수익률 X 2배 수익률을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반도체 산업 매출은 연간 5,559억 달러(655조 4,123억원)으로 전년대비 26.2% 증가한 수치입니다.
미국 정부는 반도체를 전략물자로 규정했습니다. 그 이유는 자국 기업의 반도체 수급난을 해소하고 아시아에 편중된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입니다.
지난해 6월에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 증진과 R&D 지원에 2,500억 달러를 지원하는 '미국 혁신 경쟁 법안'을 통과시켰고, 올해 1월에는 자국 내 반도체 산업에 520억 달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19개의 생산시설을 설립, 글로벌 생산 역량의 24%를 확보할 전망입니다(SIA, 2022). 이외에도 미국은 한국, 일본, 대만과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하는 ‘Chip 4’ 동맹을 제안해 중국을 견제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블록체인, 자율주행, 인공지능 IoT, 로봇의 핵심 부품은 비메모리 반도체이고,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미국이 6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산출 방법
|
수정시가총액 가중방식(상위 5개 종목 최대 8%, 나머지 종목 최대 4% 상한 적용)
|
정기변경
|
연 4회(매 3, 6, 9, 12월)
|
<구성 종목(22.04.29)>
No.
|
종목명
|
비중(%)
|
1
|
BROADCOM INC.
|
9.16
|
2
|
INTEL CORP
|
8.94
|
3
|
NVIDIA CORPORATION
|
7.34
|
4
|
QUALCOMM INC
|
7.08
|
5
|
ADV MICRO DEVICES
|
6.55
|
6
|
TEXAS INSTRUMENTS
|
4.67
|
7
|
ANALOG DEVICES CMN
|
4.44
|
8
|
KLA CP CMN STK
|
4.26
|
9
|
ASML HLDG NY REG
|
4.18
|
10
|
NXP SEMICONDUCTORS
|
4.12
|
· 미래에셋자산운용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m_invest/222697306383
글로벌 대표 반도체 기업에 레버리지 전략으로 투자하는 TIGER 미국 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
2022년 4월 19일,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ETF가 출시됩니다. 이 상품은 미국 ...
blog.naver.com
· 미래에셋자산운용 홈페이지
https://www.tigeretf.com/ko/product/search/detail/index.do?ksdFund=KR7381180009
미래에셋 TIGER ETF
미래에셋 TIGER ETF 공식홈페이지, 시장대표지수 및 다양한 섹터, 테마 등 국내에서 글로벌까지 ETF투자솔루션 제공
www.tigeretf.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항공사의 취소율과 지연율이 증가했다. 그 이유는 폭발적인 수요 때문이라고 보인다 (0) | 2022.06.22 |
---|---|
금리 상승기에도 자본 손실 없는 ETF : KODEX KOFR금리 액티브(합성) (0) | 2022.05.05 |
중국 기술 혁신 기업으로 구성된 "과창판STAR 50 ETF" 비교 (0) | 2022.04.26 |
웹 3(Web3)가 개인에게 자유를 줄 것이라는 것은 환상이다 - CNN Perspectives (0) | 2022.04.17 |
높은 퇴직률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온다 : 뱅가드 (0) | 2022.04.15 |
댓글